CVault.finance (2020년 9월 출시)는 사용자가 스테이킹하고 수익 농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디플레이션성 거버넌스 토큰인 CORE를 사용하는 DeFi(탈중앙화 금융) 프로토콜입니다[1][2].
이 플랫폼은 스테이킹된 토큰에 대한 수익 창출 전략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자동화된 전략 볼트"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 플랫폼은 2020년 9월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출시되었으며, CORE는 7일 후 Uniswap에서 데뷔했습니다[3].
완전히 탈중앙화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cVault.finance는 자체 거버넌스 모델을 "DeFi에서 가장 강력하고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델"이라고 부릅니다. CORE 토큰 보유자는 새로운 유동성 풀 생성 또는 기존 풀 제거를 포함한 프로토콜 변경 사항을 구현하기 위해 커뮤니티로서 투표합니다[4][5].
CORE는 또한 완전히 탈중앙화된 접근 방식으로 수익 창출 전략을 자율적으로 실행하도록 설계된 비인플레이션성 암호화폐입니다[6][7].
CVault.finance는 "0xRevert"와 "X 3"으로 알려진 두 명의 익명 개발자에 의해 출시되었습니다. 두 사람은 기존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일한 경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CVault.finance는 그들의 첫 번째 암호화폐 관련 프로젝트입니다[8].
2020년 10월, CVault.finance는 또 다른 익명의 개인인 "0xdec4f"를 운영 책임자로 경영진에 합류시켰습니다. CVault.finance에서 공식적인 역할을 맡기 전에 0xdec4f는 플랫폼의 Telegram (소프트웨어) 채널의 활동적인 커뮤니티 회원이자 관리자였습니다[9].
CORE는 주로 Uniswap(V2)에서 거래되지만, Bilaxy와 Hotbit에도 상장되어 있습니다. 이더리움, WETH(WETH), 테더(USDT) 및 비트코인(BTC)에 대해 거래할 수 있습니다.
CVault.finance가 다른 DeFi 프로토콜과 차별화하려는 주요 방법은 디플레이션성 수익 농사에 대한 집중입니다. CVault.finance는 새로운 토큰이 생성되지 않는 "디플레이션성 농사"를 제공합니다. 오히려 토큰 이전에 1%의 수수료가 부과되며, 이 수수료는 유동성 제공자에게 보상하는 데 사용됩니다[10].
CORE는 완전히 탈중앙화된 접근 방식으로 수익 창출 전략을 자율적으로 실행하도록 설계된 비인플레이션성 암호화폐입니다[11].
CORE는 뛰어난 커뮤니티 거버넌스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개발자 수수료부터 수수료 승인 계약 결정, 새로운 풀 추가, 재조정, CORE 전송 계약에서 풀 비활성화에 이르기까지 커뮤니티가 모든 것을 결정합니다.
CORE 토큰 보유자는 전략 계약을 제공하고 자율적인 전략 실행을 탈중앙화하기 위해 무엇이 언제 실행될지에 대해 투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으로 생성된 모든 수익의 5%는 CORE 토큰을 자동으로 시장 매수하는 데 사용됩니다[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