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nd X(그라운드X)는 대한민국 서울에 본사를 둔 기술 기업으로, Klaytn(클레이튼) 블록체인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2018년 3월 일본에서 Jaesun Han(한재선)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대한민국 최대 통신 기업 중 하나인 카카오의 자회사입니다.
2018년 초, 카카오는 Ground X라는 일본 자회사 설립 계획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 자회사의 주요 목표는 카카오의 암호화폐 사업인 Klaytn(클레이튼)의 발전을 감독하는 것이었습니다.
2018년 말, Dunamu는 싱가포르로 사업을 확장하고 UpBit 거래소의 국제 버전을 출시했습니다. 한 달 후, Initial Coin Offering(ICO)를 주관하는 자회사인 Ground X도 싱가포르로 사업을 확장했습니다.
2019년 6월, 카카오는 아시아의 개인 투자자들로부터 약 3억 달러를 모금하기 위해 KLAY 코인의 ICO를 진행할 계획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KLAY ICO 이후 Klaytn(클레이튼) 메인넷이 출시되었으며,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운영되면서 블록체인 생태계의 발전과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Klaytn(클레이튼)은 BFT 기반의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을 지원하며 Solidity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합니다. 2019년 6월에 출시되었으며, 네이티브 유틸리티 토큰은 KLAY입니다. [1]
전통 회화와 조각의 저명한 인물부터 서브컬처 분야의 활동적인 크리에이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아티스트를 선보이는 디지털 아트 큐레이션 갤러리 서비스입니다. [2]
우리의 목표는 수집가들에게 쉽고 편리한 경험을 제공하여 디지털 아트를 감상하고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크리에이터들이 지속 가능한 수입을 창출하고 진지한 탐구가 번성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는 것입니다. - Klip Drops 웹사이트에서 번역
Klip은 Klaytn(클레이튼)과 Ethereum(이더리움) 블록체인에 구축된 디지털 암호화폐 지갑입니다. 사용자는 EVM 기반 토큰과 NFT를 저장하고 교환할 수 있습니다. [3]
KAS는 사용자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Klaytn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KAS는 REST API 또는 SDK를 사용하여 트랜잭션 전송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노드 설치, 노드 관리 및 계정 키 관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목적에 따라 블록체인 계정을 그룹화하고 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서비스 체인이 운영 중일 때 API를 통해 메인 체인에 데이터를 쉽게 고정할 수 있습니다.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