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N은 플레이어 소유 경제를 가진 게임을 개발하는 개발자들을 위해 만들어진 EVM 블록체인인 로닌의 자체 암호화폐입니다. 사용자는 보상으로 RON을 얻거나 2차 시장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액시 인피니티 게임을 만든 스카이 마비스가 자사 게임을 지원하기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만들었습니다.
로닌 블록체인과 상호 작용하려면 로닌 지갑이 필요합니다. EVM 블록체인이므로 메타마스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로닌 네트워크의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으므로 로닌 지갑을 권장합니다.[1]
런칭 당시 RON을 얻는 방법은 세 가지였습니다. 카타나 DEX에서 보상을 얻거나, 2차 시장에서 구매하거나, 주주 배분을 받는 것입니다. 자금 조달 라운드의 일환으로 할인된 RON은 없었습니다. 총 발행량 대비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에 예약된 RON의 수량은 다음과 같은 분포를 따릅니다.[2]
잠금 해제된 공급량(공개 잠금 해제 일정에 나와 있음)과 유통 공급량(유통되는 토큰)의 차이가 있습니다. 잠금 해제된 토큰이 즉시 시장에 유통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미리 계획된 프로그램 예산에 따라 달라집니다.
현재는 중앙화 거래소(CEX)를 통해 기존 통화로 RON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CEX에서 RON을 구매한 후 로닌 지갑으로 보내 로닌 dApp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RON을 지원하는 거래소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3]
RON 토큰은 가스 수수료 지불 및 스테이킹 참여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6] 검증자를 통해 스테이킹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로닌에서 토큰 보유자는 RON을 스테이킹하여 검증자 선택에 참여하고, 그 대가로 서비스에 대한 보상을 받습니다. 보상은 스테이킹 보상과 브리지 보상으로 나뉩니다. 로닌은 스테이킹 보상으로 1억 8천만 RON, 브리지 보상으로 100만 RON을 할당합니다. 이는 거래 수수료가 늘어날 때까지 네트워크가 충분히 시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보상은 주로 네트워크를 시작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토콜은 거래 수수료로 자체적으로 유지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7]
스테이킹은 먼저 로닌의 사이공 테스트넷에서 시작되었으며, 테스트넷 스테이커는 RON을 검증자에게 스테이킹할 수 있었습니다. 16개의 새로운 검증자가 테스트넷에 도입되어 위임자가 이러한 검증자에게 RON을 위임하고 다가오는 로닌 DPOS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연습으로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9]
검증자는 블록 생성 노력에 대한 스테이킹 보상과 거래 수수료를 받습니다. 검증자는 스테이킹 보상과 거래 수수료를 위임자(검증자에게 스테이크를 위임하는 토큰 보유자)와 공유합니다. 각 검증자는 자체 할당된 보상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수료율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보상은 스테이킹한 금액에 따라 위임자에게 할당됩니다.[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