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etiq는 Hyperliquid 레이어 1 블록체인에 기본적으로 구축된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입니다. 주요 기능은 사용자가 Hyperliquid의 기본 토큰인 HYPE를 스테이킹하여 보상을 얻는 동시에 다른 탈중앙화 금융 (DeFi)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Kinetiq Staked HYPE (kHYPE)라는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LST)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1]
Kinetiq는 Kinetiq Research에서 개발했으며, 스테이킹된 자산이 잠겨 다른 곳에서 사용할 수 없는 기존 스테이킹의 자본 비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kHYPE 토큰을 스테이킹된 HYPE에 대한 유동적인 영수증으로 제공함으로써 프로토콜은 사용자가 스테이킹 보상을 동시에 얻고 Hyperliquid 생태계 내에서 다른 수익 창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더 많은 HYPE 스테이킹을 장려하여 Hyperliquid 네트워크의 보안과 탈중앙화를 강화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1] [2]
프로토콜의 핵심은 StakeHub라는 자동화된 검증자 관리 시스템으로, 알고리즘적으로 고성능 검증자 세트를 선택, 모니터링 및 위임합니다. 이 시스템은 개별 검증자 성능과 관련된 위험을 완화하면서 사용자에게 수익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Kinetiq는 또한 iHYPE라는 기관 스테이킹 솔루션과 Hyperliquid에서 새로운 영구 선물 거래소를 만드는 장벽을 낮추도록 설계된 EaaS (Exchange-as-a-Service) 플랫폼인 Launch를 포함한 특수 제품을 제공합니다. [3] [1]
프로젝트 창립자인 Omnia.hl이라는 가명으로 활동하는 사람은 프로토콜의 초기 제공이 Hyperliquid 생태계 내에서 더 넓은 성장을 위한 시작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Omnia.hl은 출시와 관련하여 "이것은 정말 시작에 불과합니다... 지금까지 본 것은 단지 워밍업일 뿐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2]
Kinetiq의 개발은 네트워크에서 더 복잡한 스마트 계약 상호 작용을 허용하는 Hyperliquid의 메인넷 업그레이드인 "CoreWriter Contracts"에 의해 촉진되었습니다. [4] 프로토콜의 메인넷 출시는 2025년 7월 15일로 예정되었습니다. 출시를 앞둔 주에 시장은 상당한 기대를 보였으며, 당시 약 4천만 달러 상당의 100만 개 이상의 HYPE 토큰이 기존 검증자로부터 스테이킹 해제를 위해 대기되었습니다. 이 활동의 상당 부분인 847,000 HYPE (3,350만 달러)는 3개의 대형 지갑으로 추적되었으며, 이는 주요 토큰 보유자가 데뷔 시 Kinetiq에 자산을 재배치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2]
2025년 7월 중순에 출시된 직후 Kinetiq는 사용자 예금 및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포인트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이 캠페인은 프로토콜의 초기 성장에 중요한 동인이었습니다. 프로토콜의 총 고정 가치 (TVL)는 7월 중순 약 4억 5,800만 달러에서 2025년 9월 11일까지 21억 달러 이상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1,000만 개 미만에서 거의 4,000만 개 토큰으로 증가한 새로운 HYPE 예금과 같은 기간 동안 HYPE 가격이 20% 상승한 데 기인합니다. 포인트 프로그램은 2025년 10월 16일에 최종 배포로 종료될 예정이었습니다. [5] [6]
Kinetiq는 Hyperliquid 레이어 1의 기본 프로토콜로 구축되어 효율적인 운영 및 보안을 위해 블록체인의 핵심 인프라와 긴밀하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1]
프로토콜의 사용자 흐름은 단순성과 자동화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Kinetiq Staked HYPE (kHYPE)는 사용자의 스테이킹된 위치를 나타내는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입니다. 이는 구성 가능성을 위해 설계된 수익 창출 자산으로, Hyperliquid DeFi 생태계에서 담보, 유동성 풀 또는 거래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토큰은 리베이스 모델을 따르지 않습니다. 대신 사용자 지갑에서 kHYPE의 양이 증가하는 대신 스테이킹 보상이 풀에 추가됨에 따라 kHYPE와 HYPE 간의 환율이 증가합니다. 관련 토큰인 vkHYPE도 도입되었으며 2025년 10월 7일에 Project X 플랫폼에서 거래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1] [6]
StakeHub는 Kinetiq의 독점적인 자율 검증자 관리 시스템입니다. 프로토콜 내에서 스테이킹된 모든 HYPE를 관리하고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수익을 최적화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Kinetiq는 핵심 유동성 스테이킹 기능 외에도 Hyperliquid 생태계 내의 다양한 사용자 세그먼트에 대한 여러 특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iHYPE는 기관 고객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HYPE 스테이킹 제품입니다. 기관 등급 플랫폼 및 워크플로에 맞춘 기능 및 통합을 제공합니다. Kinetiq는 이 솔루션을 위해 FlowDesk 및 IMC Trading과 같은 회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했습니다. 2025년 8월 14일, Hyperion DeFi, Inc.는 iHYPE 제품의 첫 번째 기관 예금자가 되었습니다. [3] [2]
2025년 7월 31일, Kinetiq는 EaaS (Exchange-as-a-Service) 플랫폼인 "Launch"를 발표했습니다. 이 서비스를 통해 팀은 Hyperliquid Improvement Proposal 3 (HIP-3)에 따라 1,000,000 HYPE (발표 당시 약 4,200만 달러 상당)를 스테이킹하는 상당한 자본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고도 Hyperliquid에서 자체 영구 선물 거래소를 배포할 수 있습니다. 이 플랫폼은 HYPE 보유자가 지원하려는 특정 거래소 프로젝트에 대한 격리된 스테이킹 풀에 기여하여 해당 거래소의 거래 수수료의 일부를 얻을 수 있는 크라우드 펀딩 메커니즘을 통해 이를 용이하게 합니다. Kinetiq는 검증자 조정, 거버넌스 도구 및 자동화된 수수료 분배를 포함한 기술 백엔드를 제공합니다. [3]
Kinetiq의 공동 창립자이자 CTO인 Justin Greenberg는 플랫폼에 대한 비전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Launch는 Hyperliquid에서 새로운 차원의 금융 표현을 열어줍니다. 이제 팀은 Shopify에서 상점을 여는 것처럼 쉽게 거래소를 시작할 수 있으며, 후원자는 Kickstarter에서처럼 자신이 믿는 비전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3]
Kinetiq의 보안 프레임워크에는 사용자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계층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프로토콜의 스마트 계약은 Spearbit, Pashov Audit Group, Zenith 및 code4rena의 4개 회사에서 독립적인 보안 감사를 받았습니다. 보안 연구를 더욱 장려하기 위해 Kinetiq는 Cantina 플랫폼에서 호스팅되는 활성 공개 버그 현상금 프로그램을 유지합니다. 프로토콜은 또한 비상 대응 시스템, 중요 기능에 대한 역할 기반 액세스 제어, 다중 서명 제어 및 업그레이드를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와 같은 여러 온체인 보호 장치를 통합합니다. [7] [1]
Kinetiq는 "Omnia.hl" 또는 "0xOmnia"로 알려진 가명의 개인이 설립했습니다. Justin Greenberg는 공동 창립자이자 최고 기술 책임자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Hyperliquid에서 구축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조직인 HypurrCo 생태계의 일부인 Kinetiq Research에서 개발 및 유지 관리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공개 출시 전에 엔젤 펀딩 라운드를 완료했습니다. [2] [3] [8]
Kinetiq는 Hyperliquid 생태계 전체와 기관 엔터티와 협력 관계를 구축했습니다. Secure Staking Alliance의 회원이자 Veda, Felix, Valantis, Curve, Hyperdrive, pvp.trade, Pendle, Hyperlend 및 PRJX를 포함한 DeFi 프로토콜과 통합되었습니다. [7]
2025년 6월 25일, Kinetiq는 재무부에 HYPE를 보유한 최초의 미국 상장 회사인 Eyenovia, Inc.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했습니다. 이 협력을 통해 Eyenovia의 HYPE 보유량이 지원하는 "Kinetiq x Hyperion"이라는 공동 브랜드 메인넷 검증자가 출시되었습니다. 검증자의 인프라는 SOC 2 인증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기관 스테이킹 제공업체인 Pier Two에서 관리합니다.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