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ve Wars
Curve Wars는 탈중앙화 금융(DeFi) 프로토콜들이 Curve Finance 생태계 내에서 유동성과 영향력을 두고 벌이는 지속적인 경쟁을 일컫는 용어입니다.[1]
개요
Curve Wars는 CRV 보상의 풀(pool) 유동성 제공에 대한 할당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목표로 veCRV 확보를 통한 수익률 경쟁입니다. veCRV는 vote-escrowed CRV의 약자로, Curve DAO에서 투표를 위해 락업된 CRV 토큰을 나타내는 양도 불가능한 CRV 자산 변형입니다. veCRV는 투표권을 상징하며 CRV 토큰이 락업 또는 스테이킹될 때만 생성됩니다. veCRV 토큰 보유자는 Curve 생태계의 보상도 받지만 4년에 걸쳐 분배됩니다.
Curve Finance 생태계에서 Curve의 네이티브 토큰인 CRV는 각 풀에 기여하는 유동성 제공자에게 제공됩니다. Curve 풀에서 유동성이 부족해짐에 따라 DeFi 프로토콜 간에 대부분의 유동성 제공자를 유치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벌어집니다. 이러한 경쟁으로 인해 다양한 프로토콜이 veCRV 토큰 보유자의 투표 결정에 영향을 미쳐 Curve 거버넌스를 장악하기 위해 투표를 대가로 인센티브를 제공하게 됩니다. [2][3][4]
Curve Wars의 시작
Curve Wars는 2020년경에 시작되었습니다. Curve Wars는 DeFi 생태계의 복잡한 역학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현상입니다. 그러나 몇 가지 주요 요인과 행위자가 그 시작과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 Curve Finance의 토큰 경제학(Tokenomics)
Curve의 네이티브 토큰인 CRV와 그 거버넌스 토큰인 veCRV의 구조가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사용자가 CRV를 락업하여 veCRV를 얻고 다양한 플랫폼 매개변수에 대한 투표권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Curve는 풀 내에서 유동성과 영향력에 대한 경쟁을 유도했습니다.[7] - 초기 DeFi 참여자
Andre Cronje (YFI, Yearn Finance)와 Julien Bouteloup (SpartacusSwap)과 같은 DeFi 분야의 초기 참여자들은 Curve 풀에 영향을 미치고 수익을 얻는 전략을 실험했습니다. 그들의 활동은 더 많은 경쟁과 나중에 Convex Finance와 같은 전용 플랫폼의 출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8] - 경쟁 환경
급성장하는 DeFi 분야는 자연스럽게 사용자 자금과 거래량을 놓고 경쟁을 벌였습니다. Yearn, SushiSwap 등의 플랫폼은 Curve 풀을 활용하여 자체 수익 창출 전략을 제공하고 유동성을 유치하기 시작했습니다. - 기술적 발전
투표 에스크로 시스템 및 유동성 마이닝 전략과 같은 도구 및 프로토콜의 개발은 Curve의 유동성과 veCRV 통제에 대한 경쟁을 더욱 가속화했습니다. Convex와 같은 플랫폼은 이러한 발전을 활용하여 veCRV 확보를 최적화하고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수익 기회를 제공했습니다.[9]
Curve Wars에 참여하는 DeFi 프로토콜
Curve 토큰 보유자를 플랫폼에 CRV를 락업하도록 유인하려는 주목할 만한 경쟁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Stake DAO ($SDT)는 토큰 보유자를 대신하여 veCRV를 확보하고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둔 DAO(탈중앙화 자율 조직)입니다.
- Yearn Finance ($YFI)는 veCRV를 얻고 Curve에서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자체 전략 세트를 제공합니다.
- Convex Finance ($CVX)는 Curve Wars에서 가장 두드러진 경쟁자 중 하나이며, CRV를 락업하고 veCRV를 얻는 다양한 전략을 제공합니다. Curve Wars는 주로 Convex 프로토콜에서 펼쳐지고 있으며, CRV에 대한 최고 수준의 투자 수익률(ROI)을 제공하고 veCRV 토큰의 대부분(40% 이상)을 통제하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Curve 생태계에서 가장 많은 의사 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Curve의 보상이 어떻게 분배될지 결정합니다. [2][4]
이점
투표권
Curve Wars에서 유동성 제공자로 참여하면 상당한 보상으로 인해 이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CRV 토큰을 소유하면 자동으로 veCRV 자산에 대한 진입이 가능하며, veCRV를 보유하면 스테이커는 자금이 다양한 유동성 풀에 어떻게 분배될지에 대한 영향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보상 획득
Convex Finance, Yearn, Stake DAO 등의 플랫폼은 유동성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며, 플랫폼에 veCRV 토큰을 스테이킹하는 유동성 제공자(LP)에게 지속적으로 보상과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이 전략을 통해 이러한 플랫폼은 운영에 필수적인 유동성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그 대가로 LP와 스테이커는 특히 Convex Finance의 경우 거래 가능하고 양도 가능한 cvxCRV 토큰을 받습니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