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cas Bruder
**루카스 브루더(Lucas Bruder)**는 솔라나(Solana)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유동적 리스테이킹 플랫폼인 Jito Network의 CEO 겸 공동 설립자입니다. [1][2]
교육
브루더(Bruder)는 2016년 카네기멜론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에서 전기 및 컴퓨터 공학 학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는 또한 테슬라 모터스(Tesla Motors)에서 모델 및 펌웨어 인턴으로 일했습니다. [1][3]
경력
졸업 후, Bruder는 2018년 3월까지 커넥티드 하드웨어 개발 회사인 Mindtribe Product Engineering에서 펌웨어 엔지니어로 일했습니다. 그 후, 그는 2020년 9월까지 자율주행 건설 장비 개발 회사인 Built Robotics에서 로봇 엔지니어이자 기술 리드로 일했습니다. 2020년 12월, 그는 다양한 산업을 위한 라이더 하드웨어 및 솔루션 회사인 Ouster에서 2021년 10월까지 펌웨어 엔지니어로 일했습니다. 그는 이 기간 동안 비공개 회사에서 최대 추출 가능 가치(MEV) 관련 업무를 파트타임으로 진행했습니다. 2021년 10월, 그는 Jito의 CEO가 되었습니다. [1][3]
Jito
On the Bell Curve podcast, Bruder discussed the Jito Network, its history, and its goal of bringing staking to Solana. He started with why he created Jito: [4]
“A quick history on Jito and how we got here: we started working on MEV initially and realized quickly that we could create a flywheel with JitoSOL in the MEV stack. Then, we got into liquid staking, and by mid-2023, we started ideating on StakeNet, our way of decentralizing stake pools on Solana and liquid staking tokens. For those who don't know, Solana uses delegated proof of stake. When you run a stake pool, you have a bunch of stakes and need to decide where it goes, and which validators to use. There are a bunch of different ways to do that, but the main point is that someone or something has to do it. For many stake pools in Solana, a hot wallet basically does it. We realized that if we wanted liquid staking to grow and be massive on Solana, that hot wallet would be a point of concern for potential security issues related to hacks and such. So, we started developing StakeNet. By late 2023, we saw what was going on with EigenLayer, and also, as we started ideating more StakeNet, a few pieces needed to be decentralized, like oracles. We saw the uptick in EigenLayer and how many liquid staking tokens were getting involved, acting like a vacuum for liquid staking tokens. This inspired us to decentralize things further on StakeNet.”
He then discussed the design choices for Jito’s restaking: [4]
“We think that restaking will look different on Solana compared to Ethereum. There may be aspects where you're using staked assets like LSTs or StakSPL to secure things, but we believe a large component will involve governance tokens or utility tokens. Solana has a lot of activity and it's very cheap to send transactions, so there's a lot of bots and automation involved with many protocols. We called it restaking, but the goal is to make it flexible for protocols: they can use LSTs or their own governance tokens. The first system we thought about was isolated, meaning every AVS was isolated from each other, to manage how much security is actually needed and to mitigate the risks of slashing events.”
“The more I talked to people, the more it seemed that if this isn't pooled, someone might build a pooled wrapper on it, or there might be certain use cases where it fragments the liquidity and security. If there is a scenario where there's a bunch of L2s with significant TVL on Solana, then an isolated model would look strange, or you'd need AVSs merging together to meet their security requirements…Then we realized that maybe pooled isn't that bad if the right restrictions a
위험 감사가 용이하고 통제 장치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LRT(Liquid Restking Token)의 채택을 보았으며, JitoSOL은 유동성이 없는 Solana 스테이킹 계정을 나타내는 유동적 스테이킹 토큰입니다. 처음에는 이를 출시하면 충분한 채택을 얻지 못하고 프로토콜과 제품에 대한 높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까 우려했습니다. 그래서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여 LRT를 프로토콜에 통합하여 LRT를 통하지 않고는 스테이킹할 수 없도록 만들었습니다. 또한 모든 관련 당사자 간의 상호 합의를 추가하여 슬래싱 상한 및 기타 안전 장치를 통해 위험을 통제하고 감사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LRT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LRT에 사용되는 실제 자산은 LRT 생성자가 결정할 수 있습니다. AVS는 특정 자산을 지원하거나 수락하는 LRT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Solana에서의 재스테이킹과 Ethereum에서의 재스테이킹에 대한 질문에 Bruder는 다음과 같이 답했습니다: [4]
“Solana는 매우 빠르고 저렴하며 지연 시간이 짧습니다. Solana의 저장 공간은 비교적 저렴하지만 영화와 같은 대용량 파일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킬로바이트 또는 메가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는 저장할 수 있습니다. Solana에는 ZK (Zero-Knowledge) 기술과 관련된 일부를 포함하여 많은 시스템 호출이 내장되어 있지만, 저는 그 분야 전문가는 아닙니다. 재스테이킹이 주로 오프체인 활동을 포함하는 Ethereum과 달리, Solana는 더 많은 온체인 활동과 상위에서 실행되는 네트워크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오라클은 사람들이 오라클에 스테이킹하는 Solana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가격은 업로드하는 가격의 스테이킹 가중 평균이 될 수 있습니다. 특정 시간 내에 데이터를 업로드하지 못하면 슬래싱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온체인에서 실행되는 AVS의 예입니다. 또한 StakeNet과 같은 우리가 작업 중인 StakeNet 관련 작업 중 일부는 완전히 Solana에서 실행됩니다.”
그런 다음 그는 “Solana 로드맵에서 재스테이킹이 주요 동인이 될 것으로 보십니까?”라는 질문에 답했습니다: [4]
“제가 있는 세계에서 가장 명확한 사용 사례는 MEV입니다. 설계에 매우 신중해야 하지만, 프로토콜이 할 수 없는 작업을 더 빠르게 시도할 수 있게 해줍니다. Solana는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프로토콜이므로 이것은 덜 유효할 수 있지만, 프로토콜에 통합하지 않고도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정 사항을 실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2차 효과와 일부 변경의 돌이킬 수 없는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PBS에는 많은 경로 의존성이 있으며, 일단 특정 문이 열리면 닫을 수 없습니다. 혁신의 기회가 있지만, 개발자는 부정적인 결과를 피하기 위해 잠재적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면접
Halborn AMA
In November 2022, Halborn’s Arabdha Sudhir interviewed Bruder about Jito Labs and his journey into crypto and blockchain: [5]
“Yeah, so I studied computer engineering in college. Always had this passion for computers and working on hard problems. I worked at Tesla for a bit on the Model X, specifically on the Falcon Wing doors, on the team that programs anything that moves or lights up on the car. Then I got into robotics, working on self-driving bulldozers and excavators. During that time, I was really interested in crypto, more from an investing standpoint. The first time I dove into programming as a blockchain developer was when I read Dan Robinson's Dark Forest article, where he explained that Ethereum has a bunch of bots lurking in the mempool looking to make money. The day after I read that, and every day for the next two months, I stayed up until three in the morning after my day job working on that MEV bot and just fell in love with it. "
"This led me to the Solana Hackathon, where I participated and fell in love with the user experience on Solana. I knew I wanted to go down this route but wasn't sure what it would look like. I had this theory that, seeing the success Flashbots had on Ethereum in reducing gas and making the chain run more efficiently, there was potential to explore similar opportunities. And then at the same time, I saw the inefficiencies that some of the low-fee, high-throughput chains were having with spam and MEVA. So I had this idea that the same thing would happen to Solana. So I decided to dive into solving this on Solana. And that's kind of the origin story of Jito.”
He then explained why MEV was important to blockchains: [5]
“One is it can be a centralizing force on blockchains. On chains where latency is super important, teams with the best infrastructure, lowest latency, and private deals can start to earn higher rewards than others and compound that stake back into their validator. Another reason is that if MEV is not mitigated or captured properly, it can result in a poor user experience. During times of high volatility on Solana, you can see this with arbitrage bots and liquidators spamming the chain to capture money. We released an MEV dashboard a few months ago, and if you look at arbitrage, the rate of failures in arbitrage is like 99%. Same with liquidations.”
“So all those wasted transactions are taking up space in blocks where a user's transactions could be. That's why we wanted to work on this problem: to ensure users have a good experience interacting with blockchains and to prevent centralization. Redistribution is also crucial to us, ensuring that stakers receive their fair share of MEV captured on these blockchains. We're addressing these issues by building high-performance MEV infrastructure for Solana. We have a few products, including Jito-Solana, our Solana Labs validator fork, which incorporates MEV parameters. This includes transaction bundles, which are lists of transactions that execute sequentially and atomically, and the MEV tip side.”
Jito의 보안 전략에 대한 질문에 Bruder는 다음과 같이 답했습니다. [5]
“우리는 감사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공격자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있습니다. 시스템을 어떻게 파괴하거나 악용할 수 있는지 내부적으로 강조합니다. 이것은 특히 실제 세계와 다소 격리되어 있지만 잠재적인 취약성을 고려해야 하는 온체인 프로그램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1계층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은 어렵고, 우리는 직접 L1을 개발하고 있지는 않지만 모든 가능한 공격 벡터를 고려하는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공격자의 사고방식을 채택하고 경합 상태 및 패닉과 같은 일반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솔라나의 미래
Midcurve Podcast에서 Bruder는 자신의 경력과 솔라나의 미래에 대한 통찰력을 공유했습니다. 그는 테슬라에서의 업무와 건설 장비 자동화 작업을 포함한 임베디드 시스템 및 로봇 공학 배경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Bruder는 또한 솔라나 생태계에서 Jito의 역할, 특히 유동적 스테이킹과 네트워크 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그는 네트워크 버그 처리 및 안정성 유지와 같은 암호화폐 분야의 과제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그는 솔라나에서 성공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빠른 반복과 효율적인 알고리즘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6]
유동적 스테이킹 토큰(LST)
Consensus 2024에서의 화기애애한 대담에서, Bruder와 Multicoin Capital의 매니징 파트너인 Kyle Samani는 Solana의 유동적 스테이킹 토큰(LST)의 발전에 대해 논의하며, 총 스테이킹의 1~2%에서 6% 이상으로 성장한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 대화에서는 단일 검증자 LST와 분산형 솔루션(예: 스테이킹을 200개의 검증자에 분산하여 분산성과 수익률을 높이는 JitoSOL) 간의 차이점을 다루었습니다. 또한 패널에서는 LST 관리를 자동화하고 분산하기 위한 프로토콜인 StakeNet을 소개했습니다. 그들은 정교한 네트워크 악용 및 안정성과 보안을 보장하기 위한 강력한 분산 시스템의 필요성과 같은 예상치 못한 복잡성과 과제를 언급하며, Solana에서의 미래 DeFi 혁신을 탐구했습니다. [7]
Jito Labs
로건 자스트렘스키(Logan Jastremski) 팟캐스트에서 브루더(Bruder)는 엔지니어링 배경과 테슬라(Tesla)의 하드웨어 작업에서 블록체인 기술 및 암호화폐에 집중하는 것으로의 전환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그는 이더리움과 솔라나에 대한 경험을 자세히 설명하고, 전역 메모풀(mempool) 부재 및 트랜잭션 처리 혁신과 같은 솔라나 아키텍처의 고유한 측면을 강조했습니다. 브루더는 Jito Labs가 향상된 트랜잭션 번들링 및 인프라를 통해 MEV(Maximal Extractable Value)의 과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설명했습니다. 또한 해당 기술이 특히 트랜잭션 효율성 및 스팸 감소 측면에서 블록체인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어떻게 최적화했는지 논의했습니다. [8]
솔라나의 MEV
Bell Curve Podcast에서 Eugene Chen과 Bruder는 솔라나의 Miner Extractable Value (MEV) 접근 방식이 이더리움과 어떻게 다른지 논의했습니다. 주된 차이점은 솔라나에 멤풀이 없고 블록 시간이 매우 빠르다는 점입니다. 그들은 솔라나의 낮은 지연 시간이 거래 순서 및 MEV 악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으며, 솔라나의 거래 처리 과정에서 여러 블록 리더에게 거래를 전송하는 방식을 언급했습니다. Bruder는 Jito Labs가 원자적 실행 보장 기능을 갖춘 거래 번들링 시스템을 도입하여 MEV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강조했습니다. 대화에서는 거래 수수료 관리 및 우선 순위 지정의 어려움도 다루었으며, Proposer/Bidder Separation (PBS)과 같은 향후 개선 사항을 통해 이러한 문제가 어떻게 발전할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9]